218안전문화재단7 [218 대구지하철화재참사]를 기록하고 기억한 자료들을 어렵게 찾았습니다. 1. 재난을 묻다[책소개]“그때 국가는 어디에 있었습니까?”세월호 이후, 다른 세상을 위해국가의 무책임과 시간의 망각에서 꺼내와 되짚어보는일곱 건의 재난참사들_대구지하철 화재참사‘인재’임을 증명하기 위한 싸움 (출처 : yes24 책소개 중)https://www.yes24.com/product/goods/38821689 재난을 묻다 - 예스24“그때 국가는 어디에 있었습니까?” 세월호 이후, 다른 세상을 위해국가의 무책임과 시간의 망각에서 꺼내와 되짚어보는일곱 건의 재난참사들대구지하철 화재참사, 태안해병대캠프 참사, 씨www.yes24.com 2. 재난피해자권리센터1> 218대구지하철화재참사 개요https://www.1661-2014.org/218 재난피해자권리센터2004.08. 방화범 무기징역 선고, .. 2025. 5. 22. [시민강좌 4] '재난, 참사' 인간의 존엄을 묻는 시간 [시민강좌] [재난, 참사] 인간의 존엄을 묻는 시간 1. 사업 목적(1) 사업의 필요성 “사고가 아예 일어나지 않길 바라지만, 사고가 재난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려면 무엇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재난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 필요하다. 2023년은 대구지하철 중앙로역 화재참사 20주기, 2024년은 416 세월호 참사 10주기였다. 지난 20여년 사이에 ⌜사회적참사진상규명법⌟이 제정되고, 특별조사위원회가 재난의 반복을 막기 위한 공식 권고도 발표했다.재난피해자의 권리를 보장해야 할 국가 책임이 ⌜재난안전법⌟에 최초로 명시되었고, 2024년 5월에 제정된 ⌜이태원참사규명법⌟에는 재난 피해자의 권리가 더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국가인권위원회는 2023년, ⌜재난피해자 권리보호를 위한 인권 가이드라인.. 2025. 5. 13. [안전권 -시민강좌] 기획단 - 마무리 평가회의 2024. 8. 20.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3강 안내 [1강 후기] https://allsa2.tistory.com/154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 1강 후기[안전할 권리 - 1강 후기] 입니다. (1) 한반도 수도권-부산까지 연결해볼까? - 수도권부서 시작해 부산까지 연결했습니다. - 서울에서 출발한 피스모모 영철과 부산권에서 참석하신 분들을 연결했allsa2.tistory.com [2강 후기] https://allsa2.tistory.com/155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 2강 후기[안전할 권리 - 2강 후기] 입니다. (1) “어? 왜 이렇게 일찍?, 벌써 간식?”새로운 배움시간 – 간식 시간 구성이 신선했습니다. 다들 “어 벌써 끝?, 벌써 간식?” 등등의 반응이 이어지네요. 1강allsa2.tistory.com 2024. 7. 18.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 2강 후기 [안전할 권리 - 2강 후기] 입니다. (1) “어? 왜 이렇게 일찍?, 벌써 간식?”새로운 배움시간 – 간식 시간 구성이 신선했습니다. 다들 “어 벌써 끝?, 벌써 간식?” 등등의 반응이 이어지네요. 1강과는 또다른 분위기의 2강에 새롭게 참가한 2인도 ‘낯설어도 괜찮아’에 조금씩 스며드셨겠죠? (2) 2강 참석자는 16명 → 13명까지 줄어들기도 했어요강> [일상과 사회 속 안전, 다층적으로 분석하고 성찰하기]를 주제로 240분을 함께 했습니다. - 불어라 바람아/ 해달별섬/ 갈등유형 곡선 / 영상 사례 분석 / 갈등전환 역할카드 등 촘촘하게 구성된 그 시간을 수많은 대화와 자신만의 이야기로 [서로 배움]을 진행했어요. 몰입도가 높았던, 각자 조금씩 분석 포인트가 달랐던 그 영상은 아래 첨부해두었습니.. 2024. 7. 15.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 D-5 2024. 6. 30. [시민강좌 4] 안전할 권리 - 함께 탐색해볼까요? [시민강좌 4/안전할 권리] 함께 하실분.. 어서 오세요 ~~**[시민강좌]반복 되는 사회적 참사와 시민의 안전할 권리모든 프로그램은 "참여형"으로 구성됩니다일시 : 2024. 7. 6(토), 13(토), 20(토), 27(토) 총 4강/13시~17시장소 : 대구인권교육센터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648, 호수빌딩 지하1층)대상 : 재난, 참사, 안전, 인권, 평화에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30여명 (대구경북권역 거주자 우선 선발)문의 : 인권교육공동체 사이/010-6253-3706 (허미옥)신청 : [신청해요] https://forms.gle/1UvvM2RpqkAMMjVb6주최 : 인권교육공동체 사이/경북노동인권센터장소 협조 : 국가인권위원회 대구인권사무소후원 : 218안전문화재단이 사업은 2·1.. 2024. 5. 26. 이전 1 다음